진리가 무엇이냐

묵상 2016. 5. 3. 12:57 |

 족히 5미터도 더 될 듯한 방음벽 위로 살금살금 기어오르더니 마침내 정상에 이르고는 한 고개를 넘어 뒷 등허리까지 다 점령해 버릴 기세다. 한 해의 사분의 일을 이 낯선 서울에서 보내야 하는 길고도 지루한 겨울 동안 나는 이 상계고등학교 담벼락을 묵묵히 지키고 있는 담쟁이를 바라보면서 노원 롯데백화점으로 향하곤 한다. 처음에는 그저 무심하게 바라볼 뿐이다. 그런데 가끔씩은 주의 깊게 보게 된다. 그때는 물론 내가 신호대기를 기다리며 횡단보도 앞에 멍청히 서 있을 때이다.



 싱그러운 5월의 첫날이다. 오늘도 상계고등학교 담벼락을 감싸고 있는 담쟁이들은 수많은 촉수로 가파른 수직의 벽에 발을 내리고 한걸음 한걸음, 조금씩 조심 조심, 위로 올라 마침내 연초록 물감으로 그 우울하고 답답했던 겨울의 무거움을 단번에 날려버린다. 간밤에 내린 비로 말끔히 먼지가 씻긴 잎들이 너무 영롱하여 길 가던 나를 멈춰 세운다. 생명이 충일한 잎들이 등교하는 수많은 젊음에게 축복을 선사한다. 담쟁이 잎이 아름답지 않다고 그 누가 말했던가? 담쟁이만큼 고마운 넝쿨식물도 더물다. 칙칙한 담벼락에 푸르름을 선사하고 무너질 듯 불안한 담벼락을 제 몸으로 얼기설기 얽어매어 안전을 선사하고 때로는 코흘리개들의 물티슈 대용으로도 쓰이지 않는가? 가을의 단풍은 또 어떤가? 담쟁 잎만큼 아름다운 단풍을 나는 보지 못했다. 해마다 가을이면 나는 담쟁이 잎의 아름다움을 보기 위해 서울시립대학 캠퍼스를 찾곤 한다. 공과대학 서편건물의 사분지 삼을 점령한 담쟁이 잎이 가을햇살에 반사될 적이면 세상은 온통 반․고흐의 캠버스 위에 짓이겨진 진홍의 유화 그대로다. 담쟁이 잎은 자기를 불태우며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그러나 세상은 담쟁이 잎을 주목하지 않는다. 늦가을이 되면 담쟁이 잎은 거저 귀찮은 천덕꾸러기가 되어 낙엽 수거자루에 담겨 어디론가 실려가 버리는 것이다.


 

 “진리가 무엇이냐?” 이는 빌라도가 자기 앞에 붙잡혀 온 예수에게 한 질문이다. 세상을 살 만큼 살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며 살아왔다는 사람들이라면 이런 질문을 한 번쯤 해 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 드물 것이다. 나는 오늘도 열심히 살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건지 정말 혼란스럽다. 정말 수많은 사람들이 낙엽 수거자루에 실려가 버리는 담쟁이 잎처럼 실려 가 버리는 것 같다, 주목받지 못한 채. 사람은 최소한 주목 받고 살아야 한다. 주목 받음으로 자신의 존재 의미를 알게 되고 자신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 나는 삼심여 년 교단에 서 오면서 주목 받는 사람을 키운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히 깨달았다. 주목 받지 못하는 담쟁이 잎이 작가 오․헨리에게서 ‘마지막 한 잎’으로 거듭나고, 시인 수필가에게서 그리고 드물기는 하지만 조경사나 화가에게서 재조명을 받지 않는가? 그렇다면 담쟁이 잎을 재조명한 이들에게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나는 오래 전에 나의 블로그에 ‘사랑하면 보인다’는 글을 쓴 적이 있다. 빌라도는 자기 앞에 세워 두고도 그가 곧 진리임을 몰랐기 때문에 예수가 그리스도임을 알 수 없었고 그러기에 그를 십자기에 내어 주지 않았는가? 진리는 공허한 관념도 아니요 심오한 이론도 아니다. 길이요 생명이다. 그러기에 예수는 모든 인류의 그리스도(구세주)가 되어 자기 몸을 주어 만 사람의 몸을 사고, 자기 생명을 주어 만 사람의 생명을 산 것이다. 이 모든 동력(動力)의 원천이 무엇인가? 사랑이다. 십자가의 죽음을 앞두고 있는 자기를 떠나간 제자들을 부활 후에 다시 찾아오신 예수님은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말씀하시었다. 사랑은 평강을 만들어 내지만 탐욕과 아집은 끊임없이 미움과 증오, 분노와 울분을 만들어 낼 뿐이다. 사람이든 사물이든 그 대상이 무엇이든 진정 사랑하면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주목 받는 자로 나 자신이 바꾸어질 것이며 평강을 만들어내는 자로,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는 자로, 더 나아가 주목 받는 자를 만드는 자로 나 자신을 바꾸어 나갈 것이다.  

Posted by 힛데겔
: